국내 1인 미디어 시장이 급팽창하면서, 소득의 상당 부분이 극히 소수 창작자에게 집중되는 현상이 뚜렷해지고 있다. 상위 0.1% 유튜버의 연평균 수입은 이미 50억 원에 육박하며, 3년 만에 두 배 이상 뛰어올랐다.

20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차규근 조국혁신당 의원이 국세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23년 기준 1인 미디어 창작자 상위 0.1%의 1인당 평균 수입금액은 49억 3000만 원으로 조사됐다.
2020년 19억 2000만 원이었던 금액이 3년 만에 약 2.5배로 불어난 셈이다. 같은 기간 상위 0.1% 신고 인원도 9명에서 24명으로 크게 늘었다.

전체 시장 규모 역시 빠르게 확대됐지만, 소득의 집중도는 더욱 높아졌다.
2023년 전체 창작자들이 벌어들인 총수입 1조 7778억 원 중, 상위 10%가 가져간 금액만 8963억 원으로 전체의 절반을 넘었다(50.4%).

상위 1%의 평균 수입은 3년 전 8억 5000만 원에서 지난해 13억 3000만 원으로 크게 증가했고, 상위 10%의 수입 역시 2억 8000만 원에서 3억 6000만 원으로 상승했다. 반면 전체 창작자 수는 2020년 9418명에서 지난해 2만 4673명으로 2.6배 늘었다. 이는 시장 참여자 수 증가보다 상위권의 소득 증가 속도가 훨씬 빠르다는 점을 보여준다.

차규근 의원은 “1인 미디어 시장은 폭발적으로 성장하고 있지만, 후원금 등 개인 계좌로 들어오는 수입에 대한 과세 체계는 여전히 정비되지 않았다”며 “소득 누락 방지를 위해 후원금 수취 계좌 신고를 의무화하는 소득세법 개정안의 신속한 통과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번 자료는 1인 미디어 산업이 ‘꿈의 직업’으로 떠오르는 이면에서, 상위 소수에게 수익이 집중되는 구조적 문제와 정책적 사각지대가 동시에 확대되고 있음을 보여준다.